1.칼리리눅스를 설치한 후 네트워크 설정을 하려면 vim /etc/network/interfaces를 아래와 같이 설정
- auto eth0 : 시스템이 시작할때 인터페이스 eth0을 시작
- iface : 동적ip주소일 경우 'dhcp'정적 ip주소라면 static을 지정
아래와 같이 /etc/network/interfaces파일에 대한 설명을 확인할수 있음.
https://www.debian.org/doc/manuals/debian-reference/ch05.en.html
Chapter 5. Network setup
If you wish to extend network configuration capabilities of NM, please seek appropriate plug-in modules and supplemental packages such as network-manager-openconnect, network-manager-openvpn-gnome, network-manager-pptp-gnome, mobile-broadband-provider-info
www.debian.org
설정을 했다면 아래와 같이 반영한다.
auto로 지정 : /etc/init.d/networking restart
allow-hotplug로 지정시 : ifdown eth0 && ifup eth0
※virtualbox에서 칼리리눅스를 설정한 경우 아래와 같이 설정
1.파일 > 호스트네트워크관리자 > 새로만들기
그후 해당 칼리 리눅스에 설정>네트워크로 들어가 아래와 같이 설정
네트워크가 되는지 확인
>ssh로 접근할 ID를 생성한다.
root#kali:~# useradd -m [사용할 사용자]
root#kali:~# passwwd [사용할 사용자]
>ssh를 실행한다.
root#kali:~# service ssh start
>툴을 이용하여 접근이 되는지 확인
'SERVER > kali' 카테고리의 다른 글
2.[window]NETCAT (0) | 2024.03.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