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령어 | 설명 | 실행 부분 예시 |
locate | locate 명령은 파일이나 명령의 경로를 찾는다. - 실제 입력해 보면 locate 명령은 실시간으로 파일을 찾아 출력해주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빠른속도로 출력함. -생성된지 얼마 되지 않은 파일은 파일 목록 데이터베이스 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라 검색이 안됨 (매일 1번씩 자동으로 갱신됨) 수동으로 update 할 경우 [root@kswserver ~]# updatedb 를 실행한다. |
[root@kswserver ~]# locate passwd /etc/passwd /etc/passwd- /etc/pam.d/passwd /etc/security/opasswd /etc/security/opasswd.old /usr/bin/gpasswd /usr/bin/grub2-mkpasswd-pbkdf2 /usr/bin/htpasswd .... .... ...... |
find | 지정한 디렉터리 아래의 파일을 검색하는 명령어이다. - find <검색하고 싶은 디렉터리> -name <검색키워드> 옵션으로는 b : 블록디바이스 c : 문자디바이스 d : 디렉터리 p : 명명된파이프 f : 파일 l : 심볼릭링크 s : 소켓 |
![]() |
apt | 내부에서 dpkg명령을 실행해 패키지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 업데이트도 수행한다. (옵션은 아래 표 참고) |
|
alias | 별칭으로 리눅스의 명령을 다른 이름으로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긴 명령어를 짧은 명령어로 만들거나, 언제나 사용하는 옵션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등록방법 : alias ll='ls -l' 삭제 방법 : unalias ll |
|
du&df | 파일및 디렉터리 용량 확인으로 du는 disk usage의약어로 측정 파일과 디렉터리의 용량을 표시한다. 옵션으로는 >du 옵션 -s : 합계표시 -h : 읽기 쉬운 표시형태 -sh : 여러가지 옵션을 활용 >df옵션 -k : 단위로 시스템별 하위 용량 출력 -h : 사람이 읽기 편한 단위로 파일 시스템별 용량 출력 |
|
tar |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압축하거나 한 파일로 묶을때 사용 옵션으로는 -z : gzip압축 -j : bzip압축 -c : 파일생성,묶기 -f:대상지정 -v:처리정보를 표시 -x:파일 압축 풀기 |
|
sudo | 최소권한 규칙에 따라 root로 로그인하여 관리자 권한을 남용하는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하지만 리죽스 시스템 설정을 변경하거나 root권한이 필요할 경우에는 sudo(superuser do)명령어를 이용하여 root권한을 사용할수 있다. | |
adduser /useradd |
신규사용자 추가시 사용 옵션으로는 -g <그룹ID> 혹은 -G<그룹명>으로 추가 to.사용자 확인시에는 /etc/passwd파일 확인 |
|
userdel | 사용자 삭제 | |
usermod | 사용자 변경 | |
chmod | 파일과 디렉토리의 소유자별 읽기,쓰기,실행 권한을 변경한다. | |
chown | 파일과 디렉터리의 소유자를 변경한다. chown <변경사용자> <파일명> |
|
chgrp | 파일과 디렉터리의 그룹을 변경하기 위해서 chgrp명령어를 사용한다. | |
umask | 초기 파일 접근 권한을 설정한다. |
※apt 옵션 정리
명령 옵션 | 정리 |
apt update |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저장소를 추가,삭제했을때 반드시 실행 |
apt upgrade | 모든 패키지 업데이트, 일반적으로 패키지를 업데이트할 때는 이 명령어를 사용 |
apt full-upgrade | 모든 패키지 업데이트, 보류된 패키지도 업데이트 |
apt autoremove | 업데이트에 따라 불필요하게 된 패키지를 제거 apt실행시 이 명령이 필요한 경우가 있음 |
apt install <패키지 이름> apt install <deb파일 이름> |
패키지나 deb파일을 설치 로컬에 존재하는 deb파일을 지정할 때는 파일의 전체 경로를 지정해야 한다. |
apt remove <패키지 이름> | 패키지 삭제 |
apt purge <패키지 이름> | 패키지를 완전히 삭제 |
apt search <패키지 이름> | 패키지 검색(부분일치) |
apt show | 패키지의 상세내용 표시 |
apt list <패키지 이름> | 패키지 이름을 바탕으로 패키지 목록 표시 |
apt clean | 패키징된 모든 캐시를 삭제 내려 받은 deb패키지는 캐시에 저장된다. 이 명령을 통해 캐시를 학제해 디스크 용량을 확보한다. |
apt autoclean | 캐시에 저장돼 있으나 설치되지 않은 deb파일을 삭제 |
apt list | 모든 패키지 목록을 표시 |
apt list -installed | 설치된 패키지 목록을 표시 |
apt depends <패키지 이름> | 패키지의 의존성 표시 지정한 패키지가 의존,제안,추천,충돌하는 패키지를 표시 |
※네트워크 명령어
명령어 옵션 | 정리 |
if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와 ip정보를 확인할수 있다. 주요 옵션은 -a : 전체인터페이스 정보 출력 >네트워크 장치 중단 : sudo ifconfig [네트워크명] down >네트워크 장치 실행 : sudo ifconfig [네트워크명] up ※ifconfig -a -> ip addr로 대체할수 있으며 아래와 같이 사용할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 중단 : sudo ip link set [네트워크명] down >네트워크 장치 실행 : sudo ip link set [네트워크명] up |
netstat | 네트워크 접속정보 확인하는 명령어로 TCP/UDP접속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 옵션으로는 -a : 전체접속정보 출력 -n : TCP연결정보 확인 -r : 라우팅 테이블 정보 출력 |
route | 라우팅 경로를 확인하고 수동으로 라우팅 경로를 설정 옵션으로는 add : 라우팅 경로 추가 del : fkdnxld rudfh tkrwp add -net <목적지IP대역> netmask <넷마스크> gw <게이트웨이주소> dev <인터페이스명> 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지정된 목적지IP대역에 대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할수 있다. 예)sudo route add -net 192.168.200.0 netmask 255.255.255.0 dev eth0 |
※서비스관리 명령어
명령어옵션 | 정리 |
systemctl | 서비스 실행,중단,재시작등 서비스의 작동과 관련된 모든 부분을 systemctl로 이루어진다. 옵션으로는 systemctl [start][stop][restart] <서비스명> : 실행,중단,재시작 systemctl [status] <서비스명> : 서비스 상태 확인 systemctl enable/disable <서비스명> : 부팅시 서비스 자동시작/중지 |
※리눅스 편집기(vi명령어)
vi명령모드키 | 정리 | 예시 |
k | 커서 한행위로 이동 | ![]() |
j | 커서 한 행 아래로 이동 | ![]() |
h | 커서 한글자 왼쪽으로 이동 | ![]() |
i | 커서한글자 오른쪽으로 이동 | ![]() |
g(shift+g) | 파일 마지막행 이동 | |
행번호G | 지정한 행 번호로 이동 | 3G:3번째 줄로 이동 |
x | 커서위치의 글자 삭제 | |
yy,숫자yy | 커서가 위차한 행 복사 숫자 행만큼 아래 행 복사 |
|
p | 복사한 행 붙여넣기 | |
/ | 문서 내용검색 | /test : test텍스트 검색 |
'SERVER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오류 관련]가상화머신 waiting for cache lock 및 apt update오류 (0) | 2024.08.1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