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7

7.[오라클]뷰 정리

View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이나 다른 뷰의 데이터를 볼수 있게 하는 데이터베이스 객체로, 실 데이터는 뷰를 구성하는 테이블에 담겨있지만 마치 테이블처럼 사용할수 있다. 또한 테이블 뿐만 아니라 다른 뷰를 참조하여 새로운 뷰를 만들어 사용할수 있다. 뷰 생성 : 뷰는 테이블이나 다른 뷰를 참조하여야 하는 객체이므로 뷰생성시 다른 테이블,뷰를 select하는 구문으로 구성이 되어야 한다. ※뷰 생성 쿼리 CREATE OR REPLACE VIEW KSW.TEST_VIEW AS SELECT A.EMPLOYEE_ID, A.EMP_NAME, A.DEPARTMENT_ID, B.DEPARTMENT_NAME -- 부서명 컬럼 FROM EMPLOYEES A, DEPARTMENTS B WHERE A.DEPARTMENT_I..

DB/ORACLE 2024.01.17

6.[오라클]테이블 및 칼럼 관련 정리

※테이블 삭제 DROP TABLE KSW.TEST_7; 삭제시 CASCADE CONSTRAINTS를 붙이면 삭제할 테이블의 기본키와 UNIQUE키를 참조하는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도 같이 삭제된다. 1.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TEST_10 ( Col1 VARCHAR2(10) NOT NULL, Col2 VARCHAR2(10) NULL, Create_date DATE DEFAULT SYSDATE); 2.테이블 칼럼명 변경 ALTER TABLE TEST_10 RENAME COLUMN Col1 TO TEST1; (Col1을 TEST1으로 이름 변경) 3.테이블 칼럼 크기 변경 ALTER TABLE KSW.TEST_10 MODIFY COL2 VARCHAR2(100); (COL2에 있는 VARCHAR2(..

DB/ORACLE 2024.01.17

5.[오라클]제약조건

제약 조건은 컬럼에 대한 속성 형태로 정의하지만 오라클 객체중 하나이며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종류로는 NOT NULL,UNIQUE,기본키,외래키,CHECK등이 있다. NOT NULL : 빈값으로 넣지 못하게 제약조건 UNIQUE : 해당 컬럼에 들어가는 값이 유일.중복 불가능하게 만드는것(NULL은 비교대상에서 제외) 기본키(PK - primary key) : UNIQUE와 NOT NULL속성을 동시에 가진 제약조건으로 테이블당 1개만 생성 가능 외래키(FK - Foreign key) : 테이블간의 참조 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제약조건이다. CHECK : 컬럼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체크해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입력 받고 그렇지 않으면 오류를 뱉어낸다. 제약 조건은 컬럼 속성처..

DB/ORACLE 2024.01.07

4.[오라클]타입관련 정리

※데이터베이스 객체의 종류 데이터테이스객체 설명 테이블 데이터를 담는 객체 뷰 하나이상의 테이블을 연결해 마치 테이블인 것처럼 사용 인텍스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를 빠르게 찾기(책갈피라고 생각하면된다) 시노님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대한 별칭을 부여 시퀀스 일련번호 채번을 할때 사용 함수 특정 연산을 하고 값을 반환 프로시저 함수와 비슷하지만 값을 반환하지 않고 사용 패키지 용도에 맞게 함수나 프로시저를 하나로 묶어 놓음 ※문자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 설명 CHAR 고정길이문자 최대 2000byte,디폴트값은 1byte VARCHAR2 가변길이 문자,최대 4000byte,디폴트값은 1byte NCHAR 고정길이 유니코드 문자(다국어입력가능), 최대2000byte,디폴트 값은 1 NVERCARCHAR2 가변길..

DB/ORACLE 2024.01.07

3.[오라클]기본개념 정리

[SQL의 개요] SQL은 구조화된 질의 언어의 약자로 DBMS상의 데이터를 읽고,쓰고,삭제하는등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일종의 프로그램 언어로 집합언어라고 할수 있다. SQL은 크게 DDL과DML로 나뉘고 간혹 DCL도 현장에서 쓰기도 한다. DDL : 데이터 정의어 - CREATE : 테이블이나 인덱스,뷰등 데이터 베이스 객체 생성 - DROP : 생성된 데이터 베이스 객체를 영구 삭제 - ALTER : 이미 생성된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수정 - TRUNCATE : 테이블이나 클러스터의 데이터를 통째로 삭제 DML : 데이터 조작어 - SELECT : 데이터 조회 - INSERT :데이터등록 - UPDATE :데이터 수정 - DELETE : 데이터삭제 - COMMIT : 변경된 데이터를 최종 적용 - ..

DB/ORACLE 2024.01.07

2.[오라클]dump import

우분투에서 오라클 dump파일 import할경우에는 오라클 설치 경로에 있는 bin디렉토리를 찾아서 이동하여 실행 해야 한다. 1.오라클이 설치된 경로로 이동 ※명령어로 이동 root@kswserver:/# cd $ORACLE_HOME/bin/ 2.이동 후 bin디렉토리에 imp서비스가 등록 되어있는지 확인한다. bin디렉토리 이동 후 각 값을 입력후 엔터 : root@kswserver:/# ./imp [아이디]/[비번] file=[덤프 경로] [설정 옵션] ->옵션값 참고URL [OARCLE] exp,imp 옵션 1. export 옵션 full 해당 db 전체 데이터 추출 여부( 기본값 N ) buffer 작업 단위의 크기 설정 owner db 유저별 오브젝트 추출 설정 file 추출한 데이터를 저장할..

DB/ORACLE 2024.01.07

1.[오라클]테이블스페이스,사용자,권한부여하기

오라클의 데이터 저장 단위는 물리적,논리적 단위로 나눌수 있다. 물리적 단위는 물론 파일이며,논리적 단위는 크기순으로 '데이터블록->익스텐트->세그먼트->테이블스페이스'다. 블록이 여러개 모여 익스텐트를 ,여러개의 익스텐트가 모여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식이다. (저장 되는 단위는 4개이지만 실제로 SQl을 이요해 데이터를 조작하는 대상은 테이블이다.) 테이블 스페이스란 테이블들을 담은 커다란 공간이라고 보면 된다. ※실습하기 1.테이블 스페이스 생성하기 SQL > CREATE TABLESPACE myts DATAFILE '/u01/app/oracle/oradata/myoracle/myts.dbf' SIZE 100m AUTOEXTEND ON NEXT 5M; 테이블스페이스 이름을 myts라는 이름으로 100M..

DB/ORACLE 2024.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