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32

12.[오라클]SQL문 관련 정리하기

SELECT SELECTFROM employees a, departments b WHERE a.department_id = b.department_id; 기본적으로 개발하다 보면 별칭(alias)라고 말하는데 가끔 "아 뭐였더라???"라고 생각하게 된다... (내 머리는 메모리카드라 휘발성이 강하다...쩝) 여기서 a,b로 명시한 부분을 별칭(alias)라고 한다. (칼럼에서 AS문을 붙이는 부분도 별칭이라고 한다.) a.employee_id, a.emp_name, a.department_id, b.department_name AS dep_name INSERT 아래와 같이 insert하게 되면 에러가 안난다. 여기서 col3에 있는 타입이 date인데 2번째에는 '2024-01-01'로 insert하였는..

DB/ORACLE 2024.01.21

11.[오라클]파티션테이블 정리

파티션테이블이란? 테이블에 있는 특정 컬럼 값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 논리적 테이블 :1개 물리적 테이블 : 분할한 만큼 파티션이 만들어져 입력되는 컬럼 값에 따라 분할된 파티션별로 데이터가 저장 파티션 테이블을 만드는 목적 : 대용량 테이블에 대해 데이터 조회시 효율성과 성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KSW"."PARTITION_TABLE"( PROD_ID NUMBER(6,0) NOT NULL ,CUST_ID NUMBER(6,0) NOT NULL ,CHANNEL_ID NUMBER(6,0) NOT NULL ,EMPLOYEE_ID NUMBER(6,0) NOT NULL ,PARTITION_DATE DATE DEFAULT SYSDATE NOT NULL ,PAR..

DB/ORACLE 2024.01.21

10.[오라클 공부]시퀀스 정리

시퀀스는 자동 순번을 반환하는 데이터 베이스 객체로 단순히 증감 연산을 이용해 유일한 숫자를 구할때 주로 사용된다. ※시퀀스 내용 정리 CREATE SEQUENCE [스키마명].[시퀀스명] 시퀀스 생성 INCREMENT BY [증감숫자] 증감숫자는 0이아닌 정수로 양수면 증가 음수면 감소 DEFAULT는 1 START WITH [시작숫자] 시작 숫자 DEFAULT값 증가일때:MINVALUE ,감소일때 MAXVALUE NOMINVALUE DEFAULT 값으로 증가일때 1,감소인 경우 -(1027-1) MINVALUE [최소값] 최소값은 시작 숫자와 작거나 같아야 하고 MANVALUE보다 작아야함. NOMAXVALUE DEFAULT 값으로 증가일때 1028-1, 감소인 경우 -1 MAXVALUE [최대값] ..

DB/ORACLE 2024.01.21

9.[오라클]시노님(Synonym) 정리

Synonym은 '동의어'란 뜻으로 데이터베이스 객체는 각자 고유한 이름이 있는데, 이 객체들에 대한 동의어를 만드는 것이 바로 시노님(Synonym)이다. 예로 이지은이라는 사람이 "독도는 우리땅!"이라고 애기를 하는데 만약 아이유라는 필명을 사용하고, 필명의 본명을 알고 있는 사람을 제외한 나머지는 본명을 모르고, 아이유로만 알고 있다.여기서 이지은이 객체명이라고 한다면 아이유는 바로 시노님(Synonym)이라는 것이다. 시노님에는 PUBLIC과 PRIVATE시노님이 있다. PUBLIC : 데이터 베이스의 모든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다. PRIVATE : 특정 사용자에게만 참조되는 시노님이다. ※시소님 생성 : CREATE OR REPLACE SYNONYM TEST_CHANNEL FOR CHANNEL..

DB/ORACLE 2024.01.17

8.[오라클]인덱스 정리

index는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를 빨리 찾기 위한 용도의 데이터에비스 객체이다. 책을 볼때 특정 내용을 빨리 찾기 위해 찾아보기 부분처럼 사용되는 것을 인덱스라고 생각하면 된다(책갈피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대표적인 인덱스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인덱스 구성 컬럼 개수에 따른 분류(단일,결합 인덱스) 유일성 여부에 따른 분류 (unique,non-unique) 인덱스 내부 구조에 따른 분류(b-tree,비트맵,함수기반등) 해시클러스터 인덱스,리버스 키 인덱스,비트맵조인인덱스,도메인인덱스,파티션인덱스등이 있다. ※인덱스 생성 : CREATE UNIQUE INDEX KSW.TEST_INDEX ON KSW.TEST_10 (CREATE_DATE); (CREATE[UNIQUE] INDEX [스키마명].인덱스명..

DB/ORACLE 2024.01.17

7.[오라클]뷰 정리

View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이나 다른 뷰의 데이터를 볼수 있게 하는 데이터베이스 객체로, 실 데이터는 뷰를 구성하는 테이블에 담겨있지만 마치 테이블처럼 사용할수 있다. 또한 테이블 뿐만 아니라 다른 뷰를 참조하여 새로운 뷰를 만들어 사용할수 있다. 뷰 생성 : 뷰는 테이블이나 다른 뷰를 참조하여야 하는 객체이므로 뷰생성시 다른 테이블,뷰를 select하는 구문으로 구성이 되어야 한다. ※뷰 생성 쿼리 CREATE OR REPLACE VIEW KSW.TEST_VIEW AS SELECT A.EMPLOYEE_ID, A.EMP_NAME, A.DEPARTMENT_ID, B.DEPARTMENT_NAME -- 부서명 컬럼 FROM EMPLOYEES A, DEPARTMENTS B WHERE A.DEPARTMENT_I..

DB/ORACLE 2024.01.17

6.[오라클]테이블 및 칼럼 관련 정리

※테이블 삭제 DROP TABLE KSW.TEST_7; 삭제시 CASCADE CONSTRAINTS를 붙이면 삭제할 테이블의 기본키와 UNIQUE키를 참조하는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도 같이 삭제된다. 1.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TEST_10 ( Col1 VARCHAR2(10) NOT NULL, Col2 VARCHAR2(10) NULL, Create_date DATE DEFAULT SYSDATE); 2.테이블 칼럼명 변경 ALTER TABLE TEST_10 RENAME COLUMN Col1 TO TEST1; (Col1을 TEST1으로 이름 변경) 3.테이블 칼럼 크기 변경 ALTER TABLE KSW.TEST_10 MODIFY COL2 VARCHAR2(100); (COL2에 있는 VARCHAR2(..

DB/ORACLE 2024.01.17

5.[오라클]제약조건

제약 조건은 컬럼에 대한 속성 형태로 정의하지만 오라클 객체중 하나이며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종류로는 NOT NULL,UNIQUE,기본키,외래키,CHECK등이 있다. NOT NULL : 빈값으로 넣지 못하게 제약조건 UNIQUE : 해당 컬럼에 들어가는 값이 유일.중복 불가능하게 만드는것(NULL은 비교대상에서 제외) 기본키(PK - primary key) : UNIQUE와 NOT NULL속성을 동시에 가진 제약조건으로 테이블당 1개만 생성 가능 외래키(FK - Foreign key) : 테이블간의 참조 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제약조건이다. CHECK : 컬럼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체크해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입력 받고 그렇지 않으면 오류를 뱉어낸다. 제약 조건은 컬럼 속성처..

DB/ORACLE 2024.01.07

4.[오라클]타입관련 정리

※데이터베이스 객체의 종류 데이터테이스객체 설명 테이블 데이터를 담는 객체 뷰 하나이상의 테이블을 연결해 마치 테이블인 것처럼 사용 인텍스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를 빠르게 찾기(책갈피라고 생각하면된다) 시노님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대한 별칭을 부여 시퀀스 일련번호 채번을 할때 사용 함수 특정 연산을 하고 값을 반환 프로시저 함수와 비슷하지만 값을 반환하지 않고 사용 패키지 용도에 맞게 함수나 프로시저를 하나로 묶어 놓음 ※문자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 설명 CHAR 고정길이문자 최대 2000byte,디폴트값은 1byte VARCHAR2 가변길이 문자,최대 4000byte,디폴트값은 1byte NCHAR 고정길이 유니코드 문자(다국어입력가능), 최대2000byte,디폴트 값은 1 NVERCARCHAR2 가변길..

DB/ORACLE 2024.01.07

3.[오라클]기본개념 정리

[SQL의 개요] SQL은 구조화된 질의 언어의 약자로 DBMS상의 데이터를 읽고,쓰고,삭제하는등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일종의 프로그램 언어로 집합언어라고 할수 있다. SQL은 크게 DDL과DML로 나뉘고 간혹 DCL도 현장에서 쓰기도 한다. DDL : 데이터 정의어 - CREATE : 테이블이나 인덱스,뷰등 데이터 베이스 객체 생성 - DROP : 생성된 데이터 베이스 객체를 영구 삭제 - ALTER : 이미 생성된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수정 - TRUNCATE : 테이블이나 클러스터의 데이터를 통째로 삭제 DML : 데이터 조작어 - SELECT : 데이터 조회 - INSERT :데이터등록 - UPDATE :데이터 수정 - DELETE : 데이터삭제 - COMMIT : 변경된 데이터를 최종 적용 - ..

DB/ORACLE 2024.01.07